-
Original Article

-
Minimum Population Estimation Algorithm for Wildlife Using Camera Trap Data : Habitat-Based Cost-Path and Graph Structure Analysis
카메라 트랩 데이터를 활용한 야생동물 최소 개체군 추정 알고리즘 : 서식지 기반 비용경로와 그래프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
Minkyu Park
박민규
- A novel algorithm for estimating the minimum population size (MPS) of wildlife using camera trap data was developed and empirically applied to …
본 연구는 카메라 트랩 데이터를 활용하여 야생동물의 최소 개체군 크기(MPS)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산양(Naemorhedus caudatus)을 대상으로 …
- A novel algorithm for estimating the minimum population size (MPS) of wildlife using camera trap data was developed and empirically applied to the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proposed algorithm spatiotemporally classifies detection events that cannot represent the same individual based on the physical movement potential between camera trap detection events and determines the dependency of event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we applied it to 1,185 goral detection events collected over 420 days in the Osaek area of Seoraksan. The results estimated the minimum number of gorals at 28 individuals,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estimate based on fecal DNA analysis in the same area (25 individuals, 95% confidence interval 21–29).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eliable minimum population estimation is feasible even when individual identification within the same species is impossible, indicating potential applications in various wildlife conservation and population management studies.
- COLLAPSE
본 연구는 카메라 트랩 데이터를 활용하여 야생동물의 최소 개체군 크기(MPS)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산양(Naemorhedus caudatus)을 대상으로 실증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카메라 트랩 탐지 이벤트 간의 물리적 이동 가능성에 근거하여 동일 개체가 될 수 없는 이벤트들을 시공간적으로 분류하고 이벤트의 종속 여부를 판단한다. 본 알고리즘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설악산 오색 지역에서 420일간 수집한 1,185건의 산양 탐지 이벤트를 알고리즘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 산양의 최소 개체수는 28개체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동일 지역의 산양 분변 DNA 분석 기반 추정치(25개체, 95% 신뢰구간 21–29)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동일 종의 개체별 식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신뢰성 있는 최소 개체군 추정이 가능함을 입증하며, 향후 다양한 야생동물 보전 및 개체군 관리 연구에 활용될 가능성을 보였다.
-
Minimum Population Estimation Algorithm for Wildlife Using Camera Trap Data : Habitat-Based Cost-Path and Graph Structure Analysis
-
Original Article

-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urrent Wetland Vegetation in the Ancient Reservoirs of South Korea: Their Implications for the Ecological Conservation
한국 고대 유적 저수지에서 현존 식생의 구조와 분포: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제안
-
Cheolho Lee, Hwirae Kim, Kang-Hyun Cho
이철호, 김휘래, 조강현
- Ancient reservoirs in Korea, with origins dating back several millennia, hold ecological,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However, due to anthropogenic influences and …
수천년 전에 조성된 한국의 고대 저수지는 생태적,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자연적 과정과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이들 저수지는 규모와 기능 …
- Ancient reservoirs in Korea, with origins dating back several millennia, hold ecological,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However, due to anthropogenic influences and natural processes, many of these irrigation facilities have undergone substantial changes in scale and function. This study examined land use and the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the actual vegetation at four representative ancient reservoirs in Korea: Uirimji, Gonggeomji, Byeokgolje, and Susanje Reservoirs. The land us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ancient reservoirs, except for the Uirimji Reservoir, have been converted into agricultural or urban areas. Preliminary findings from the land use analysis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the ancient reservoirs, with the exception of Uirimji Reservoir, have undergone conversion to serve agricultural or urban purposes. Of particular concern are the wetland areas of the reservoirs in Gonggeomji, Byeokgolje, and Susanje, which are severely limited in size. A total of 23 survey plots were established to study the vegetation, which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18 plant communities. These plant communities were examples of typical Korean wetland vegetation. The results of the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indicated that geographical location (particularly latitude and altitude) and site environmental conditions (particularly water depth) significantly influenced vegetation distribution. These results suggest an urgent need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practices in cultural heritage water management facilities. Priority should be given to expanding the retention areas of traditional reservoirs and restoring wetland vegetation with native plant species adapted to the reservoirs'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approach will enhance biodiversity and preserve the historical and ecological integrity of important cultural landscapes.
- COLLAPSE
수천년 전에 조성된 한국의 고대 저수지는 생태적,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자연적 과정과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이들 저수지는 규모와 기능 면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표적 고대 저수지인 의림지, 공검지, 벽골제, 수산제에서 토지이용, 현존 식생의 구조와 분포 그리고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토지 이용 분석 결과, 의림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고대 저수지는 농업 또는 도시 지역으로 전환되었다. 특히 공검지, 벽골제, 수산제에서는 저수지의 습지 공간이 매우 제한되고 있었다. 총 23개의 조사구에서 조사한 식생은 18개의 식물 군집으로 식별되었다. 이들 식물군집은 한국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습지 식생이었다. 탈경향대응분석(DCA)의 결과, 지리적 위치(특히 위도 및 고도)와 지소의 환경조건 (특히 수심)이 식생 분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문화유산 수리시설에서 생태 복원과 지속가능한 관리가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전통 저수지의 저류지를 확대하고 환경 조건에 적응한 토착 식물종을 활용하여 습지 식생을 복원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아야 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고, 중요한 문화 경관의 역사적 및 생태적 완전성을 보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urrent Wetland Vegetation in the Ancient Reservoirs of South Korea: Their Implications for the Ecological Conservation
-
Original Article

-
Determining the Minimum Number of Sampling Sites for Long-Term Monitoring of Agroecosystem Flora in Korea
한국 농업생태계 식물상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최소 조사 지점수 산정
-
Myung-Hyun Kim, Young-Ju Oh
김명현, 오영주
- To systematically monitor changes in agricultural plant flora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al environmental shif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
기후변화와 농업환경 변화로 인한 농경지 식물상 변화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적정 조사 지점수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
- To systematically monitor changes in agricultural plant flora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al environmental shif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number of survey site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inimum number of survey sites required for long-term monitoring of plant flora in major agricultural land types in Korea: paddy fields, upland fields, and orchards. Plant taxa accumulation curves were derived for each habitat type to propose the minimum number of sites for efficient nationwide surveys, and the overlap of plant taxa among habitat types was visualized using Venn diagrams. Analysis showed that upland fields required the fewest sites, identifying over 90% of the taxa with just 10 sites, followed by paddy fields (24 sites) and orchards (28 sites). When integrating all agricultural land types, over 90% of the taxa were identified with 56 sites. Venn diagram analysis clearly showed the number of taxa unique to each agricultural land type and those common across multiple agricultural land types. These findings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establishing a long-term monitoring system for the agricultural plant flora of Korea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agroecosystem management poli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COLLAPSE
기후변화와 농업환경 변화로 인한 농경지 식물상 변화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적정 조사 지점수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농경지 유형인 논, 밭, 과수원에서 식물상 장기모니터링에 필요한 최소 조사 지점수를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각 서식지 유형별로 식물 분류군 축적 곡선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전국 단위 조사를 위한 최소 조사 지점수를 제시하였고, 서식지 간 분류군 중복성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밭은 단 10개 지점만으로 전체 분류군의 90% 이상을 식별할 수 있어 가장 적은 조사 노력으로 높은 종 파악률을 보였으며, 논은 24개, 과수원은 28개의 지점이 필요하였다. 세 가지 농경지 유형을 통합한 경우, 전체 분류군의 90% 이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56개 지점의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벤 다이어그램 분석을 통해 농경지 유형별 고유 출현 분류군과 복수 농경지 유형에 공통으로 출현하는 분류군 수가 명확히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농경지 식물상의 장기적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생태계 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Determining the Minimum Number of Sampling Sites for Long-Term Monitoring of Agroecosystem Flora in Korea
-
Original Article

-
Evaluation of Heat Stress Indices for Koreans: A Comparative Study of Perceived Temperature and KMA WBGT in Quantifying Heatwave Impacts
한국인 인지온도 및 체감온도기반 폭염 영향 정량화 성능 비교·분석
-
Ju-Young Shin, Kyu Rang Kim, Myoung-Jin Um, Yeonji Chung, Seoyoung Kim
신주영, 김규랑, 엄명진, 정연지, 김서영
-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mperature indicators based solely on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which fail to fully …
이 연구는 기존 일 최고기온 중심의 폭염지표가 인체의 실제 열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국형 인지온도와 기상청 폭염체감온도의 정합성과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mperature indicators based solely on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which fail to fully capture the actual thermal environment experienced by the Korean people. It evaluated the consistency and validity of the Korean Perceived Temperature (PT)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Wet-Bulb Globe Temperature-based index (WBGTk). A total of six outdoor surveys and microclimate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Seoul and Suwon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citizens’ thermal sensation and thermal comfort levels and the respective indices. PT showed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0.991) with thermal sensation, while the WBGTk index showed the strong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ith thermal comfort (R2=0.986).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T and WBGTk are the most suitable indicators for representing citizens’ perceived heat and comfort and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ir effective application in future heatwave response policies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systems.
- COLLAPSE
이 연구는 기존 일 최고기온 중심의 폭염지표가 인체의 실제 열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국형 인지온도와 기상청 폭염체감온도의 정합성과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서울과 수원 지역에서 총 6회의 실외 설문조사와 미기상 관측을 병행하여, 시민의 주관한서감 및 온열쾌적감과 각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지온도는 주관한서감과의 결정계수(R2) 0.991로 가장 높았고, 폭염체감온도는 온열쾌적감과의 R2가 0.986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 결과는 인지온도와 폭염체감온도가 시민의 체감 더위와 쾌적감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지표임을 의미하며, 향후 폭염 대응 정책 및 건강 보호 체계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
Evaluation of Heat Stress Indices for Koreans: A Comparative Study of Perceived Temperature and KMA WBGT in Quantifying Heatwave Impacts
-
Original Article

-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Strategies of the Jugyocheon Estuarine Wetland, Hadong, South Korea
하동 주교천하구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보전방안
-
Yeounsu Chu, Minhyeok Won, Han Kim
추연수, 원민혁, 김한
- Estuarine wetlands are transitional zones where marine, riverine, and terrestrial ecosystems converge, forming dynamic ecosystems influenced by complex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
하구습지는 해양, 하천, 육상 생태계가 맞닿는 전이지대로서, 물리·화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동적 생태계이다. 이러한 특성은 고유한 지형과 식생대를 형성하며 독특한 생물다양성의 기반이 …
- Estuarine wetlands are transitional zones where marine, riverine, and terrestrial ecosystems converge, forming dynamic ecosystems influenced by complex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These characteristics shape unique topography and vegetation zones, forming the basis for distinctive biodiversity. This study comprehensively surveyed and analyzed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biota of the Jugyocheon Estuary Wetland, a brackish water area, aiming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estuarine wetlands. The survey results classified the vegetation into 18 plant communities across five physiognomic vegetation types: lentic herbaceous vegetation, lotic herbaceous vegetation, segetal vegetation, and substitutional vegetation. Notably, the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ies dens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estuary functioned as a primary habitat for organisms, simultaneously providing ecological buffering and contributing to the landscape's distinctiveness. In terms of biodiversity, a total of 1,074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5 endangered species. As an open estuary encompassing freshwater, brackish, and marine environments, it positively influenced the habitat of diverse functional groups. In conclusion, the Jugyocheon Estuarine Wetland holds high ecological conservation value as a strategic connection point along the wetland ecological axis extending to the southern coast. It is judged that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an contribute to preserving biodiversity and maintaining aquatic ecosystem functions.
- COLLAPSE
하구습지는 해양, 하천, 육상 생태계가 맞닿는 전이지대로서, 물리·화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동적 생태계이다. 이러한 특성은 고유한 지형과 식생대를 형성하며 독특한 생물다양성의 기반이 된다. 본 연구는 기수역인 주교천하구습지를 대상으로 식생 분포 특성과 생물상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여, 하구습지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정수 및 유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경작지식생, 대상식생 등 총 5개 상관식생형의 18개 식물군락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하구 전역에 걸쳐 고밀도로 분포하는 갈대군락은 주요 생물 서식처로 기능하며 경관적 특이성과 함께 생태적 완충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었다. 생물다양성 측면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5종 포함 총 1,074종의 생물이 확인되었다. 열린 하구라는 지형적 특성은 담수, 기수, 해양 환경을 모두 아우르는 다양한 기능군의 서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교천하구습지는 남해안으로 이어지는 습지 생태축 상의 전략적 연결지점으로서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으며,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수생태계 기능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Strategies of the Jugyocheon Estuarine Wetland, Hadong, South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